[사이버다임] 기업 보안 담당자를 위한 IT, 클라우드, 보안 뉴스 큐레이션 (11월 4주 차)

안녕하세요. 사이버다임입니다.
매주 금요일, 금주의 핫토픽 IT·클라우드·보안 뉴스들을 정리해서 전해드립니다!
사이버다임을 통해 이슈를 확인하세요!
11월 4주 차 금주의 핫토픽
■ 트럼프 당선에 일론 머스크 부상까지... AI 시대의 사이버안보 전략 9가지
기사 요약
AI 시대를 맞아 사이버안보 분야가 정치외교적인 측면에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사이버안보와 AI, 우주, 신흥기술의 위상은 국제안보 환경도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으로 자국에 유리하도록 외교 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우리도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 2조 달러 정부 예산 삭감 예고한 머스크··· 전문가들 “美 사이버 보안 역량 약화 우려”
2조 달러 정부 예산 삭감 예고한 머스크··· 전문가들 “美 사이버 보안 역량 약화 우려”
일론 머스크가 주도하는 2조 달러 규모의 연방 예산 삭감 계획이 미국 정부 기관의 사이버 보안 역량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다만 이러한 변화가 쉽게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이
www.cio.com
기사 요약
일론 머스크가 주도하는 2조 달러 규모의 연방 예산 삭감 계획이 미국 정부 기관의 사이버 보안 역량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충성 지지자이자 세계 최고 부호인 일론 머스크와 전 대선 후보 비벡 라마스와미를 정부효율부(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DOGE) 이니셔티브의 책임자로 12일 임명했다.머스크가 즐겨 사용하는 밈 암호화폐에서 이름을 따온 DOGE는 정부 지출의 대대적인 삭감을 위한 작업을 착수할 예정이다. 머스크는 국방 분야를 제외한 연방 정부 부처 예산에서 최소 2조 달러(약 2,783조 원)를 삭감하고 규제를 대폭 축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과기정통부의 사이버보안 핵심 정책 방향 4가지
과기정통부의 사이버보안 핵심 정책 방향 4가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불법스팸, IP카메라 해킹, 딥페이크 등 잇따른 보안 이슈에 대응할 수 있는 AI를 활용한 사이버보안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바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대전환’을
www.boannews.com
기사 요약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불법스팸, IP카메라 해킹, 딥페이크 등 잇따른 보안 이슈에 대응할 수 있는 AI를 활용한 사이버보안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바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대전환’을 위한 정책 추진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김남철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이하 국장)은 ‘SecureKorea 2024’에서 ①AI 안전을 위한 선제 대응 추진 ②사이버위협 총력 대응 강화 ③디지털서비스 민생불편 해소방안 추진 ④SW 공급망 전 단계 사이버 보안체계 마련 등 4가지를 제시했다.
사이버 보안 · IT · 클라우드 소식
금주의 IT, 클라우드 소식을 알려 드려요
1. [긴급] 수천 대 팔로알토네트웍스 방화벽 해킹당해...최근 제로데이 취약점 악용해 공격_2024.11.22/데일리시큐
2. 헬다운 랜섬웨어, 자이젤 VPN 취약점 노려 기업 네트워크 공격…주의_2024.11.22/데일리시큐
3. [단독] "무인기 기술 싹 털렸다"...국정원, 해킹 배후 조사_2024.11.20/한국경제TV
4. “랜섬웨어 하반기에 더 많았다… 복구만큼 분석도 중요”_2024.11.19/스카이데일리
5. 사이버공격, 중소기업 피해 비중 83%...랜섬웨어 피해는 계속_2024.11.20/데일리시큐
6. 치료차 한국 왔다 덜미 잡힌 '랜섬웨어 조직' 러시아 총책… 美 압송_2024.11.19/한국일보
7. 국정원, K원전 수출지원 ‘사이버보안 지침’ 발표_2024.11.19/인사이트 N파워
8. 사이버보안 포기? 어처구니없는 ‘비밀번호’들_2024.11.17/애플경제
9. 대단히 은밀하고 비밀스러운 랜섬웨어 이미르, 타 조직과 파트너십 맺고 움직여_2024.11.15/보안뉴스
10. 국정원, 사이버보안 지침 마련해 원전 수출 경쟁력 높인다_2024.11.15/네이트뉴스
11. 순천향대·경성대, 보안취약점 6년 방치해 2500명 개인정보 유출_2024.11.14/디지털타임스


